본문 바로가기
  • 소소한정보통
생활정보/일상정보

❓ 2025 유족연금 Q&A 총정리

by 소소정보나눔 2025. 3. 30.

 

📌 Q. 유족연금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A.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했을 때, 일정 요건을 충족한 배우자·자녀·부모·손자녀 등이 받을 수 있어요.

 

배우자의 경우, 만 60세 이상이거나 2급 이상 장애가 있는 경우 수급 가능해요. 자녀는 19세 미만 또는 22세 미만의 대학생이라면 해당돼요.

📌 Q. 2025년에 바뀐 수급 기준은?

A. 2025년부터는 유족연금 수급 기준 중 소득인정액 기준이 완화되고, 기초연금과의 중복 수령 시 감액률이 기존 50% → 40%로 낮아졌어요.

 

또한, 공무원연금·사학연금 수급 유족의 중복 수령 조건이 명확해지고, 재혼 기준도 '사실혼'까지 확대되었어요.

📌 Q. 신청은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?

A. 사망신고 후,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방문하거나 온라인 민원서비스를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.

 

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사망진단서, 가족관계증명서, 신청서, 본인 통장사본, 신분증 등이 있어요.

📌 Q. 지급액은 얼마나 되나요?

A. 사망자의 가입기간, 평균소득, 납부 이력 등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소득의 40~60% 수준이 기본이에요.

 

예상 수령액은 국민연금 유족연금 계산기에서 확인 가능해요.

📌 Q. 유족연금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?

A. 배우자는 만 60세 이상이면 평생 수급이 가능하고, 자녀는 19세까지, 대학생은 22세까지 받을 수 있어요.

 

장애인이나 부모는 별도 기준으로 계속 수급이 가능하니 수령조건 페이지에서 확인해보세요.

📌 Q. 재혼하면 연금은 끊기나요?

A. 네, 배우자는 재혼 시 유족연금 수급이 중단돼요. 다만 자녀나 부모가 수급자일 경우에는 영향이 없어요.

 

2025년부터는 사실혼으로도 재혼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해요.


📎 [유족연금 수령조건 자세히 보기]

 

📎 [신청 시 필요한 서류 목록]

❓ 자주 묻는 추가 질문들

Q1. 기초생활수급자인데 유족연금 받을 수 있나요?

A1. 받을 수 있어요. 단, 생계급여가 조정될 수 있으니 지자체에 상담이 필요해요.

 

Q2. 소급 신청은 몇 년까지 가능한가요?

A2. 최대 5년까지 소급 신청이 가능해요. 이후 기간은 소멸돼요.

 

Q3. 자녀가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은?

A3. 19세 미만이거나 22세 미만의 대학생일 경우 가능해요.

 

Q4. 외국 거주자도 신청할 수 있나요?

A4. 네. 국내 계좌와 본인 인증이 가능하면 신청돼요.

 

Q5. 신청 후 지급까지 얼마나 걸리나요?

A5. 평균 2~4주 이내 지급되며, 서류 미비 시 지연될 수 있어요.

 

Q6. 신청은 본인이 아닌 가족이 해도 되나요?

A6. 가능합니다. 위임장과 신분증 사본이 필요해요.

 

Q7.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짧아도 가능할까요?

A7. 최근 5년 내 18개월 이상 납입했으면 가능성이 있어요.

 

Q8. 연금을 받다가 중단되는 경우도 있나요?

A8. 재혼, 연령 초과, 사망 등 특정 사유에 따라 지급이 종료될 수 있어요.